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10분기 만에 GDP 역성장" - 그런데 역성장이 무슨 뜻일까?

by 주공개 2023. 1. 26.
반응형

출처: https://www.etnews.com/20230126000146

GDP 10분기 만에 역성장

: 최근 들어 국내 GDP 성장률이 "역성장" 했다는 기사가 심심치 않게 보이고 있다. 10분기 다시 말해 2년 반 만에 한국 경제가 역성장했다는 것. 그런데 표준어가 맞는지부터 긴가민가한 이 "역성장"이라는 단어는 무슨 뜻일까?

 

2년 반 만에 역성장한 한국경제…올해 1%대 성장도 '위태'

양대축 민간소비·수출 부진에 지난해 4분기 -0.4% 성장 반도체 업황 부진에 올해도 전망 밝지 않아…하방리스크 확대 우려 박대한 민선희 기자 = 한국 경제에 다시 빨간불이 들어왔다. 지난해 고

n.news.naver.com

 

한국경제 작년 4분기 성장률 -0.4%…2년 반만에 역성장(종합)

소비·수출 부진 영향…연간 기준으로는 2.6% 성장 작년 실질 국내총소득은 1.1% 줄어…2019년 이후 3년만에 감소 올해 성장률 전망 1.7% 하향 조정할 듯…1%대 성장도 안심 못 해 (서울=연합뉴스) 박

n.news.naver.com


e-나라지표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연간 GDP 자료를 보면 2020년에도 GDP 성장률이 -0.7% 로 감소했던 적이 있었던 것 같다. 그런데, GDP 실제 값을 보면 2019년에 비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것을 보면, 작년 대비 성장률이 감소한 것을 역성장이라는 단어로 표현하는 듯 하다.

관련 기사를 보니 불경기로 인해 소비도 줄고, 수출 산업도 줄어든지라 올해 4분기 성장률이 -0.4% 그쳤다는 것 같다. 그럼에도 한국은행은 2022년 연간 성장률 추정치를 2.6% 로 예상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GDP 자체가 감소한 것은 아니니 마냥 비관적으로 볼 필요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역성장도 성장이다

: 동화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서는 그나마 있는 힘껏 달려야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역성장도 성장 아니겠는가? 비록 성장세는 조금 느려졌지만, 모두가 뒤쳐지고 있는 현 시대에 조금이라도 성장한 점에 좀 더 의미를 부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출처: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HOMEPAGE&CONT_SRC_ID=31497&CONT_CLS_CD=001023001&CONT_ID=416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