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음악

서양 음악 (Classic)의 역사 - 르네상스에서 낭만주의에 이르기까지

by 주공개 2022. 11. 1.
반응형

1. 클래식의 시작

클래식이라고 부르는 서양 음악의 개념은 19세기경 유럽에서 확립되기 시작했으나, 그 시작은 AD 500년 이전의 고대 음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유럽에서는 18세기부터 계몽주의와 인문학의 발전에 힘입어 음악 예술 분야에서도 꾸준한 연구 성과를 내놓기 시작했는데, 이후 19세기에 들어서 시민들의 권리가 보장되기 시작하면서 대중들에게 음악이라는 문화가 보편화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당시에 성행했던 공공 연주회는 클래식 분야의 주요 장르에 있어 전반적인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결과적으로는 공공 연주회에서 연주되는 곡 중 청중들에게 인기가 있는 작품들을 총칭하는 장르를 클래식 즉, 고전 음악이라 부르게 되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서양 고전 음악의 시작을 AD 500년 이전으로 보기는 하지만, 현대에서 정의하는 기준의 클래식은 통상 1500년대부터 1900년대의 음악을 가리킨다. 1500년대 이전에도 중세 음악이라고 해서 AD 500년에서 약 1400년대 성행했던 장르를 서양 음악 역사에 포함시키기는 하지만, "아르스 안티쿠아", "아르스 노바", "아르스 수브틸리오르" 등의 음악에 대해 기억하는 사람은 서양 음악을 전공한 사람 중에서도 많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의 클래식은 1550년 정도를 그 시작으로 보며, 이 당시는 르네상스 음악이 성행하던 시기로 보인다. 

 

2. 르네상스 시대 (주요 음악가: 빌라르트)

르네상스 시대는 AD 1400년에서 1600년 정도로 정의하기 때문에, 현대에서 정의하는 클래식은 사실상 르네상스 시대 막바지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르네상스 시대의 유명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는 "빌라르트"라는 사람이 있는데, 사실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사람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다만, 16세기 초의 대가들은 교회 작품을 비롯해 여러 가지 기악곡을 작곡했으며, "베네치아" 악파를 비롯해, 판타지아, 독일의 다성 가곡, 프로테스탄트 교회 음악 등의 여러 음악을 탄생시켰다. 특히, 16세기의 영국은 엘리자베스 1세가 통치하던 황금시대이자, 셰익스피어가 활동하던 시대이기도 했다. 이 시대에 기악이나 성악에도 우수한 작품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지니, 당시 문무를 모두 겸비한 영국의 모습이 어떠했을지에 대해서는 가히 상상이 가지 않는다.

 

3. 바로크 시대 (주요 음악가: 비발디, 헨델, 바흐)

16세기 마지막을 장식한 르네상스 음악 이후, 17, 18세기의 유행하던 음악은 바로크 음악이라고 부른다. 르네상스라는 말의 어원이 "고대문화의 부흥"이었다면, 바로크라는 단어는 본래 17, 18세기의 미술 양식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였다고 한다. 미술계에서 바로크 스타일의 작품이 유행했던 1600년경부터 1750년경, 음악 문화 또한 이전 시대와는 차별화된 스타일의 장르가 대중들에게 인기를 끌었기 때문에 후대에 이르러 이 시기의 음악을 바로크 음악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바로크 시대는 초기, 중기, 후기로 세분화해서 구분하기도 하는데, 그중에서도 후기 바로크 시대에 접어들면 대중들에게도 꽤 낯익은 이름의 대가들이 활동하기 시작한다. 사계로 유명한 비발디를 비롯해, 오라토리오 작곡에 몰두했던 헨델, 그리고 훗날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바흐가 바로 이 시대의 대가들이다.

 

4. 고전주의 (주요 음악가: 베토벤, 하이든, 모차르트)

바로크 시대와 고전주의 시대에 두루두루 퍼져있던 갈랑 음악과 감정 과다 양식의 공통 음악은 잠시 접어두고, 고전주의 시대로 넘어가 보자. 고전주의 음악은 1750년경부터 1810년경까지 비엔나라고 불리는 오스트리아 빈을 중심으로 발전한 장르를 말한다. 음악 관련된 국내외 드라마 혹은 영화를 보면 오스트리아 빈이 클래식의 성지로 묘사되고는 하는데, 그 시작이 바로 18세기 중후반의 고전주의 시대였을 것으로 예상해볼 수 있다. 베토벤과 하이든, 모차르트 등의 유명한 대가들이 활동했던 이 시대는 서구권 음악사의 신기원을 이룬 시대라고도 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를 비롯해 이탈리아, 독일의 베를린, 프랑스의 파리와 런던 등 유럽 각지에서 다양하고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던 시대이자 오페라와 가곡이 발달한 시기이기도 하다. 고전주의 음악을 영어로 "Classical Music"이라고 부르니, 현대의 클래식의 기준을 완성한 시대가 바로 이 고전주의 시대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5. 낭만주의 (주요 음악가: 슈베르트, 슈만, 쇼팽)

낭만주의 음악 혹은 낭만파라고 불리는 음악 장르는 1815년부터 시작되어 1960년까지의 음악을 일컫는데, 공교롭게도 1815년 나폴레옹의 패전 이후에 유행하기 시작한 음악을 일컫는다고 한다. 또한, 1815년경에 시작된 음악 장르를 1960년까지도 꾸준히 작곡하던 음악가들이 있었겠지만, 일반적으로 189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음악은 세기 전환기 음악으로 모더니즘 혹은 근대 음악으로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낭만주의 음악의 전성기는 길게 봐야 1900년 초에 마무리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순수 낭만주의 시대에 활동했던 음악가 중 대중적으로 알려진 음악가로는 흔히 슈베르트와 슈만, 쇼팽 정도를 꼽는 편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현대의 일반 대중들이 알만한 대가들이 많지만 대부분 후기 낭만주의의 음악가로 분류하고 더 나아가서는 그 시대의 음악을 앞서 언급한 세기 전환기 음악으로 구분하게 된다.

 

6. 낭만을 넘어 현대로

클래식이라는 단어를 서양 음악사에 어느 시기에 누가 언급하기 시작했고 정의했는가에 대해서는 다소 불분명한 느낌이 있으나, 현대와 같은 방식으로 클래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나라는 프랑스였다고 보는 것이 지배적인 듯하다. 다만, 당시에는 고대의 예술 수준을 뛰어넘어 새로운 공식 규범 혹은 우수성을 갖춘 음악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었다면, 최종적으로는 19세기에 이르러서야 클래식이라는 용어가 완전히 자리 잡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서는 19세기 말 새로운 유형의 음악인 낭만주의 장르가 나타나기 시작하자, 그 이전 세대의 음악들을 구분 지어 고전파라고 부르기 시작했기 때문에 온전히 지금의 클래식으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반응형

댓글